맨위로가기

코드 페이지 43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드 페이지 437은 1981년 IBM PC와 함께 도입된 8비트 문자 인코딩으로, 왕 워드 프로세싱 기기의 문자 집합에서 유래했다. 이 코드 페이지는 256개의 문자를 표현하며, ASCII 문자를 기반으로 다양한 그래픽 문자, 상자 그리기 문자, 수학 기호 등을 포함한다. 초기 텍스트 기반 컴퓨팅 환경에서 GUI의 초기 형태를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국제화 문제와 한글 지원의 부재로 인해 현대 운영 체제에서는 다른 코드 페이지나 유니코드에 의해 대체되었다. 코드 페이지 437의 문자는 유니코드 및 WGL4 문자 집합에 포함되어 대부분의 현대 운영 체제에서 여전히 지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자 인코딩 - 유니코드
    유니코드는 세계의 모든 문자를 하나의 컴퓨터 인코딩 표준으로 통합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유니코드 컨소시엄에 의해 관리되고 UTF-8, UTF-16, UTF-32 등의 부호화 형식을 제공하지만, 일부 문자 표현 문제, 버전 간 비호환성, 레거시 인코딩과의 호환성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문자 인코딩 - UTF-8
    UTF-8은 유니코드 문자를 표현하는 가변 길이 문자 인코딩 방식으로, ASCII 코드와 호환성을 유지하며 다양한 언어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보안 문제점과 공간 효율성 측면에서 단점을 가진다.
코드 페이지 437
일반 정보
표준 VGA를 사용하여 IBM PC에서 렌더링된 코드 페이지 437
표준 VGA를 사용하여 IBM PC에서 렌더링된 코드 페이지 437
MIMEIBM437
별칭cp437, 437, csPC8CodePage437, OEM-US
언어영어, 독일어, 스웨덴어
확장US-ASCII
관련코드 페이지 850, CWI-2
분류확장 ASCII, OEM 코드 페이지

2. 역사

워드 프로세싱 기기의 문자 집합은 코드 페이지 437의 문자 집합의 유래가 되었다. 빌 게이츠폴 앨런은 왕 워드 프로세서의 특수 문자(웃는 얼굴, 상자, 삼각형 등)에 주목하여, 이를 IBM PC의 키보드 디자인에 반영하고자 했다.[3] 1981년, IBM PC와 함께 도입된 코드 페이지 437은 당시 텍스트 기반 컴퓨팅 환경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초기 형태를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데이비드 J. 브래들리 (PC의 ROM-BIOS 개발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러한 문자들은 앤디 사엔츠 (비디오 카드 담당), 르 에그브레흐트 (PC 수석 엔지니어) 및 그 자신이 시애틀에서 애틀랜타로 가는 비행기 안에서 4시간 동안 진행된 회의에서 결정되었다고 한다.[3]

3. 구성 및 특징

코드 페이지 437은 8비트 문자 인코딩으로, 총 256개의 문자(0x00-0xFF)를 표현한다. 이 문자 집합은 빌 게이츠가 1995년 인터뷰에서 언급했듯이 워드 프로세싱 기기의 문자 집합에서 유래되었다.[3] 데이비드 J. 브래들리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 문자들은 시애틀에서 애틀랜타로 가는 비행기 안에서 4시간 동안의 회의를 통해 결정되었다고 한다.[3]

코드 페이지 437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0x00-0x1F: 제어 문자와 특수 기호 (딩뱃)
  • 0x20-0x7E: ASCII와 동일한 인쇄 가능 문자
  • 0x7F: 삭제(DEL) 문자
  • 0x80-0xFF: 확장 문자 (악센트 부호가 있는 유럽 언어 문자, 선 그리기 문자, 도형 문자, 수학 기호 등)


코드 페이지 437의 문자들은 다음과 같은 내부 규칙에 따라 선택되었다.

  • 0번~31번(00hex~1Fhex)과 127번(7Fhex) : 딩뱃 (보조 및 장식 문자)
  • 32번~126번(20hex~7Ehex) : 표준 ASCII 인쇄 가능 문자
  • 128번~175번(80hex~AFhex) : 국제 텍스트 문자 모음
  • 176번~223번(B0hex~DFhex) : 상자 그리기 및 블록 문자
  • 224번~254번(E0hex~FEhex) : 수학 기호 (물리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그리스 문자 포함)


코드 페이지 437의 전체 문자표는 다음과 같다.[18][19][15][20] 각 문자는 해당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와 십진수 Alt 코드와 함께 표시된다.

(오른쪽 중괄호)

|-

| 0x7E || U+007E || Alt+126 || ~ (물결표)

|-

| 0x7F || U+2302 || Alt+127 || ⌂ (집)

|-

| 0x80 || U+00C7 || Alt+128 || Ç (라틴 대문자 C 세디유)

|-

| 0x81 || U+00FC || Alt+129 || ü (라틴 소문자 U 분음 기호)

|-

| 0x82 || U+00E9 || Alt+130 || é (라틴 소문자 E 급성 악센트)

|-

| 0x83 || U+00E2 || Alt+131 || â (라틴 소문자 A 원호)

|-

| 0x84 || U+00E4 || Alt+132 || ä (라틴 소문자 A 분음 기호)

|-

| 0x85 || U+00E0 || Alt+133 || à (라틴 소문자 A 중성 악센트)

|-

| 0x86 || U+00E5 || Alt+134 || å (라틴 소문자 A 위의 고리)

|-

| 0x87 || U+00E7 || Alt+135 || ç (라틴 소문자 C 세디유)

|-

| 0x88 || U+00EA || Alt+136 || ê (라틴 소문자 E 원호)

|-

| 0x89 || U+00EB || Alt+137 || ë (라틴 소문자 E 분음 기호)

|-

| 0x8A || U+00E8 || Alt+138 || è (라틴 소문자 E 중성 악센트)

|-

| 0x8B || U+00EF || Alt+139 || ï (라틴 소문자 I 분음 기호)

|-

| 0x8C || U+00EE || Alt+140 || î (라틴 소문자 I 원호)

|-

| 0x8D || U+00EC || Alt+141 || ì (라틴 소문자 I 중성 악센트)

|-

| 0x8E || U+00C4 || Alt+142 || Ä (라틴 대문자 A 분음 기호)

|-

| 0x8F || U+00C5 || Alt+143 || Å (라틴 대문자 A 위의 고리)

|-

| 0x90 || U+00C9 || Alt+144 || É (라틴 대문자 E 급성 악센트)

|-

| 0x91 || U+00E6 || Alt+145 || æ (라틴 소문자 AE)

|-

| 0x92 || U+00C6 || Alt+146 || Æ (라틴 대문자 AE)

|-

| 0x93 || U+00F4 || Alt+147 || ô (라틴 소문자 O 원호)

|-

| 0x94 || U+00F6 || Alt+148 || ö (라틴 소문자 O 분음 기호)

|-

| 0x95 || U+00F2 || Alt+149 || ò (라틴 소문자 O 중성 악센트)

|-

| 0x96 || U+00FB || Alt+150 || û (라틴 소문자 U 원호)

|-

| 0x97 || U+00F9 || Alt+151 || ù (라틴 소문자 U 중성 악센트)

|-

| 0x98 || U+00FF || Alt+152 || ÿ (라틴 소문자 Y 분음 기호)

|-

| 0x99 || U+00D6 || Alt+153 || Ö (라틴 대문자 O 분음 기호)

|-

| 0x9A || U+00DC || Alt+154 || Ü (라틴 대문자 U 분음 기호)

|-

| 0x9B || U+00A2 || Alt+155 || ¢ (센트 기호)

|-

| 0x9C || U+00A3 || Alt+156 || £ (파운드 기호)

|-

| 0x9D || U+00A5 || Alt+157 || ¥ (엔 기호)

|-

| 0x9E || U+20A7 || Alt+158 || (페세타 기호)

|-

| 0x9F || U+0192 || Alt+159 || ƒ (갈고리가 있는 라틴 소문자 F)

|-

| 0xA0 || U+00E1 || Alt+160 || á (라틴 소문자 A 급성 악센트)

|-

| 0xA1 || U+00ED || Alt+161 || í (라틴 소문자 I 급성 악센트)

|-

| 0xA2 || U+00F3 || Alt+162 || ó (라틴 소문자 O 급성 악센트)

|-

| 0xA3 || U+00FA || Alt+163 || ú (라틴 소문자 U 급성 악센트)

|-

| 0xA4 || U+00F1 || Alt+164 || ñ (라틴 소문자 N 물결표)

|-

| 0xA5 || U+00D1 || Alt+165 || Ñ (라틴 대문자 N 물결표)

|-

| 0xA6 || U+00AA || Alt+166 || ª (여성 서수 지시자)

|-

| 0xA7 || U+00BA || Alt+167 || º (남성 서수 지시자)

|-

| 0xA8 || U+00BF || Alt+168 || ¿ (뒤집힌 물음표)

|-

| 0xA9 || U+2310 || Alt+169 || ⌐ (뒤집힌 부정 기호)

|-

| 0xAA || U+00AC || Alt+170 || ¬ (부정 기호)

|-

| 0xAB || U+00BD || Alt+171 || ½ (분수 1/2)

|-

| 0xAC || U+00BC || Alt+172 || ¼ (분수 1/4)

|-

| 0xAD || U+00A1 || Alt+173 || ¡ (뒤집힌 느낌표)

|-

| 0xAE || U+00AB || Alt+174 || « (왼쪽 꺾쇠 괄호)

|-

| 0xAF || U+00BB || Alt+175 || » (오른쪽 꺾쇠 괄호)

|-

| 0xB0 || U+2591 || Alt+176 || ░ (밝은 음영)

|-

| 0xB1 || U+2592 || Alt+177 || ▒ (중간 음영)

|-

| 0xB2 || U+2593 || Alt+178 || ▓ (어두운 음영)

|-

| 0xB3 || U+2502 || Alt+179 || │ (상자 그리기 가벼운 세로)

|-

| 0xB4 || U+2524 || Alt+180 || ┤ (상자 그리기 가벼운 세로 및 왼쪽)

|-

| 0xB5 || U+2561 || Alt+181 || ╡ (상자 그리기 세로 단일 및 왼쪽 이중)

|-

| 0xB6 || U+2562 || Alt+182 || ╢ (상자 그리기 세로 이중 및 왼쪽 단일)

|-

| 0xB7 || U+2556 || Alt+183 || ╖ (상자 그리기 아래로 이중 및 왼쪽 단일)

|-

| 0xB8 || U+2555 || Alt+184 || ╕ (상자 그리기 아래로 단일 및 왼쪽 이중)

|-

| 0xB9 || U+2563 || Alt+185 || ╣ (상자 그리기 세로 이중 및 왼쪽 이중)

|-

| 0xBA || U+2551 || Alt+186 || ║ (상자 그리기 세로 이중)

|-

| 0xBB || U+2557 || Alt+187 || ╗ (상자 그리기 아래로 이중 및 왼쪽 이중)

|-

| 0xBC || U+255D || Alt+188 || ╝ (상자 그리기 위로 이중 및 왼쪽 이중)

|-

| 0xBD || U+255C || Alt+189 || ╜ (상자 그리기 위로 이중 및 왼쪽 단일)

|-

| 0xBE || U+255B || Alt+190 || ╛ (상자 그리기 위로 단일 및 왼쪽 이중)

|-

| 0xBF || U+2510 || Alt+191 || ┐ (상자 그리기 가벼운 아래로 및 왼쪽)

|-

| 0xC0 || U+2514 || Alt+192 || └ (상자 그리기 가벼운 위로 및 오른쪽)

|-

| 0xC1 || U+2534 || Alt+193 || ┴ (상자 그리기 가벼운 위로 및 가로)

|-

| 0xC2 || U+252C || Alt+194 || ┬ (상자 그리기 가벼운 아래로 및 가로)

|-

| 0xC3 || U+251C || Alt+195 || ├ (상자 그리기 가벼운 세로 및 오른쪽)

|-

| 0xC4 || U+2500 || Alt+196 || ─ (상자 그리기 가벼운 가로)

|-

| 0xC5 || U+253C || Alt+197 || ┼ (상자 그리기 가벼운 세로 및 가로)

|-

| 0xC6 || U+255E || Alt+198 || ╞ (상자 그리기 세로 단일 및 오른쪽 이중)

|-

| 0xC7 || U+255F || Alt+199 || ╟ (상자 그리기 세로 이중 및 오른쪽 단일)

|-

| 0xCA || U+255A || Alt+200 || ╚ (상자 그리기 위로 이중 및 오른쪽 이중)

|-

| 0xCB || U+2554 || Alt+201 || ╔ (상자 그리기 아래로 이중 및 오른쪽 이중)

|-

| 0xCC || U+2569 || Alt+202 || ╩ (상자 그리기 위로 이중 및 가로 이중)

|-

| 0xCD || U+2566 || Alt+203 || ╦ (상자 그리기 아래로 이중 및 가로 이중)

|-

| 0xCE || U+2560 || Alt+204 || ╠ (상자 그리기 세로 이중 및 오른쪽 이중)

|-

| 0xCF || U+2550 || Alt+205 || ═ (상자 그리기 가로 이중)

|-

| 0xD0 || U+256C || Alt+206 || ╬ (상자 그리기 세로 이중 및 가로 이중)

|-

| 0xD1 || U+2567 || Alt+207 || ╧ (상자 그리기 위로 단일 및 가로 이중)

|-

| 0xD2 || U+2568 || Alt+208 || ╨ (상자 그리기 위로 이중 및 가로 단일)

|-

| 0xD3 || U+2564 || Alt+209 || ╤ (상자 그리기 아래로 단일 및 가로 이중)

|-

| 0xD4 || U+2565 || Alt+210 || ╥ (상자 그리기 아래로 이중 및 가로 단일)

|-

| 0xD5 || U+2559 || Alt+211 || ╙ (상자 그리기 위로 이중 및 오른쪽 단일)

|-

| 0xD6 || U+2558 || Alt+212 || ╘ (상자 그리기 위로 단일 및 오른쪽 이중)

|-

| 0xD7 || U+2552 || Alt+213 || ╒ (상자

3. 1. ASCII와의 호환성 및 차이점

코드 페이지 437은 ASCII를 기반으로 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 C0 제어 범위(0x00-0x1F)는 그래픽 문자에 매핑되어 있다.
  • 높은 비트 범위(0x80-0xFF)는 다양한 기호 문자에 매핑되어 있다.

3. 2. 디스플레이 어댑터

IBM PC에는 IBM MDA의 ROM에 9×14 픽셀 문자 폰트와 CGA 카드의 8×8 픽셀 문자 폰트가 포함되어 있었다. EGA에는 8×14 픽셀 문자 버전이 포함되어 있었고, VGA에는 9×16 버전이 포함되어 있었다.[3]

이러한 모든 디스플레이 어댑터에는 각 문자 셀에 8비트 문자 코드 포인트가 포함된 텍스트 모드가 있어(자세한 내용은 VGA 호환 텍스트 모드 참조) 그래픽 문자에 대해 256개의 가능한 값을 제공했다. ASCII에서 비그래픽 제어 문자로 예약된 0에서 31까지의 코드를 포함하여 모든 256개 코드에 ROM에 그래픽 문자가 할당되었다.[3]

다양한 동유럽 PC는 다른 문자 집합을 사용했으며, 때로는 점퍼나 CMOS 설정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세트는 가능한 한 코드 페이지 437과 일치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예를 들어 많은 선 그리기 문자에 대한 코드 포인트를 공유하면서도 현지 언어의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었다.[3]

3. 3. Alt 코드

코드 페이지 437의 유산은 윈도우 Alt 코드에서 사용되는 숫자 조합이다.[8][9][10] DOS 시절, Alt 키를 누른 채 넘패드에 문자 코드를 입력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었으며,[8] 많은 사용자들이 CP437(또는 유사한 CP850)에 필요한 숫자를 암기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는 CP1252와 같은 다른 문자 집합을 사용했지만, 사용자들이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원래 숫자를 에뮬레이션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숫자 앞에 0을 입력하여 윈도우 문자 집합의 코드를 입력하는 기능을 추가했다.[8][11]

Alt 코드의 숫자 조합은 코드 페이지 437과 기타 DOS 코드 페이지를 기반으로 한다.[28][29][30]Alt 키를 누른 채 숫자 키패드로 3자리 십진법의 Alt 키 코드를 입력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28]마이크로소프트가 CP1252 등 전용 문자 세트를 사용하고, 나중에 유니코드Windows에서 전환이 이루어졌을 때도, 원래 코드는 남겨졌다(마이크로소프트는 숫자 키패드로 숫자 앞에 0을 입력하여 CP1252 등 실제 문자 세트에서 코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했다).[28][31]

4. 문자 집합

다음은 코드 페이지 437의 문자 집합 표이다. 각 문자는 해당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와 10진수 Alt 코드와 함께 표시된다. 일부 코드 포인트는 여러 유니코드 문자에 매핑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API는 특정 코드 포인트(0-31, 127)를 제어 문자로 해석하여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14]

코드 페이지 437 문자표
코드유니코드Alt 코드설명
0x00U+0000Alt+0NUL
0x01U+263AAlt+1☺ (흰색 웃는 얼굴)
0x02U+263BAlt+2☻ (검은색 웃는 얼굴)
0x03U+2665Alt+3♥ (검은색 하트 무늬)
0x04U+2666Alt+4♦ (검은색 다이아몬드 무늬)
0x05U+2663Alt+5♣ (검은색 클로버 무늬)
0x06U+2660Alt+6♠ (검은색 스페이드 무늬)
0x07U+2022Alt+7• (탄환)
0x08U+25D8Alt+8◘ (반전 탄환)
0x09U+25CBAlt+9○ (흰색 원)
0x0AU+25D9Alt+10◙ (반전 흰색 원)
0x0BU+2642Alt+11 (남성 기호)
0x0CU+2640Alt+12 (여성 기호)
0x0DU+266AAlt+13♪ (8분 음표)
0x0EU+266BAlt+14♫ (이어진 8분 음표)
0x0FU+263CAlt+15☼ (햇살이 있는 흰색 태양)
0x10U+25BAAlt+16► (검은색 오른쪽 포인터)
0x11U+25C4Alt+17◄ (검은색 왼쪽 포인터)
0x12U+2195Alt+18↕ (위아래 화살표)
0x13U+203CAlt+19 (이중 느낌표)
0x14U+00B6Alt+20¶ (파일크로 기호)
0x15U+00A7Alt+21§ (섹션 기호)
0x16U+25ACAlt+22▬ (검은색 직사각형)
0x17U+21A8Alt+23↨ (밑면이 있는 위아래 화살표)
0x18U+2191Alt+24↑ (위쪽 화살표)
0x19U+2193Alt+25↓ (아래쪽 화살표)
0x1AU+2192Alt+26→ (오른쪽 화살표)
0x1BU+2190Alt+27 (왼쪽 화살표)
0x1CU+221FAlt+28∟ (직각)
0x1DU+2194Alt+29↔ (좌우 화살표)
0x1EU+25B2Alt+30▲ (검은색 위쪽 삼각형)
0x1FU+25BCAlt+31▼ (검은색 아래쪽 삼각형)
0x20U+0020Alt+32SP (공백)
0x21U+0021Alt+33! (느낌표)
0x22U+0022Alt+34" (따옴표)
0x23U+0023Alt+35# (숫자 기호)
0x24U+0024Alt+36$ (달러 기호)
0x25U+0025Alt+37% (퍼센트 기호)
0x26U+0026Alt+38& (앰퍼샌드)
0x27U+0027Alt+39' (아포스트로피)
0x28U+0028Alt+40( (왼쪽 괄호)
0x29U+0029Alt+41) (오른쪽 괄호)
0x2AU+002AAlt+42* (별표)
0x2BU+002BAlt+43+ (더하기 기호)
0x2CU+002CAlt+44, (쉼표)
0x2DU+002DAlt+45- (하이픈-빼기)
0x2EU+002EAlt+46. (마침표)
0x2FU+002FAlt+47/ (슬래시)
0x30U+0030Alt+480 (숫자 0)
0x31U+0031Alt+491 (숫자 1)
0x32U+0032Alt+502 (숫자 2)
0x33U+0033Alt+513 (숫자 3)
0x34U+0034Alt+524 (숫자 4)
0x35U+0035Alt+535 (숫자 5)
0x36U+0036Alt+546 (숫자 6)
0x37U+0037Alt+557 (숫자 7)
0x38U+0038Alt+568 (숫자 8)
0x39U+0039Alt+579 (숫자 9)
0x3AU+003AAlt+58: (콜론)
0x3BU+003BAlt+59; (세미콜론)
0x3CU+003CAlt+60< (왼쪽 꺾쇠 괄호)
0x3DU+003DAlt+61= (등호)
0x3EU+003EAlt+62> (오른쪽 꺾쇠 괄호)
0x3FU+003FAlt+63? (물음표)
0x40U+0040Alt+64@ (상업적 앳)
0x41U+0041Alt+65A (라틴 대문자 A)
0x42U+0042Alt+66B (라틴 대문자 B)
0x43U+0043Alt+67C (라틴 대문자 C)
0x44U+0044Alt+68D (라틴 대문자 D)
0x45U+0045Alt+69E (라틴 대문자 E)
0x46U+0046Alt+70F (라틴 대문자 F)
0x47U+0047Alt+71G (라틴 대문자 G)
0x48U+0048Alt+72H (라틴 대문자 H)
0x49U+0049Alt+73I (라틴 대문자 I)
0x4AU+004AAlt+74J (라틴 대문자 J)
0x4BU+004BAlt+75K (라틴 대문자 K)
0x4CU+004CAlt+76L (라틴 대문자 L)
0x4DU+004DAlt+77M (라틴 대문자 M)
0x4EU+004EAlt+78N (라틴 대문자 N)
0x4FU+004FAlt+79O (라틴 대문자 O)
0x50U+0050Alt+80P (라틴 대문자 P)
0x51U+0051Alt+81Q (라틴 대문자 Q)
0x52U+0052Alt+82R (라틴 대문자 R)
0x53U+0053Alt+83S (라틴 대문자 S)
0x54U+0054Alt+84T (라틴 대문자 T)
0x55U+0055Alt+85U (라틴 대문자 U)
0x56U+0056Alt+86V (라틴 대문자 V)
0x57U+0057Alt+87W (라틴 대문자 W)
0x58U+0058Alt+88X (라틴 대문자 X)
0x59U+0059Alt+89Y (라틴 대문자 Y)
0x5AU+005AAlt+90Z (라틴 대문자 Z)
0x5BU+005BAlt+91[ (왼쪽 대괄호)
0x5CU+005CAlt+92\ (역 슬래시)
0x5DU+005DAlt+93] (오른쪽 대괄호)
0x5EU+005EAlt+94^ (삽입 기호)
0x5FU+005FAlt+95_ (밑줄)
0x60U+0060Alt+96` (악센트 기호)
0x61U+0061Alt+97a (라틴 소문자 A)
0x62U+0062Alt+98b (라틴 소문자 B)
0x63U+0063Alt+99c (라틴 소문자 C)
0x64U+0064Alt+100d (라틴 소문자 D)
0x65U+0065Alt+101e (라틴 소문자 E)
0x66U+0066Alt+102f (라틴 소문자 F)
0x67U+0067Alt+103g (라틴 소문자 G)
0x68U+0068Alt+104h (라틴 소문자 H)
0x69U+0069Alt+105i (라틴 소문자 I)
0x6AU+006AAlt+106j (라틴 소문자 J)
0x6BU+006BAlt+107k (라틴 소문자 K)
0x6CU+006CAlt+108l (라틴 소문자 L)
0x6DU+006DAlt+109m (라틴 소문자 M)
0x6EU+006EAlt+110n (라틴 소문자 N)
0x6FU+006FAlt+111o (라틴 소문자 O)
0x70U+0070Alt+112p (라틴 소문자 P)
0x71U+0071Alt+113q (라틴 소문자 Q)
0x72U+0072Alt+114r (라틴 소문자 R)
0x73U+0073Alt+115s (라틴 소문자 S)
0x74U+0074Alt+116t (라틴 소문자 T)
0x75U+0075Alt+117u (라틴 소문자 U)
0x76U+0076Alt+118v (라틴 소문자 V)
0x77U+0077Alt+119w (라틴 소문자 W)
0x78U+0078Alt+120x (라틴 소문자 X)
0x79U+0079Alt+121y (라틴 소문자 Y)
0x7AU+007AAlt+122z (라틴 소문자 Z)
0x7BU+007BAlt+123{ (왼쪽 중괄호)
0x7CU+007CAlt+124\ (세로선)
0x7DU+007DAlt+125}
코드 페이지 437 문자 집합
16진0123456789ABCDEF
0xNUL
Alt+0
U+0000

Alt+1
U+263A

Alt+2
U+263B

Alt+3
U+2665

Alt+4
U+2666

Alt+5
U+2663

Alt+6
U+2660

Alt+7
U+2022

Alt+8
U+25D8

Alt+9
U+25CB

Alt+10
U+25D9

Alt+11
U+2642

Alt+12
U+2640

Alt+13
U+266A

Alt+14
U+266B

Alt+15
U+263C
1x
Alt+16
U+25BA

Alt+17
U+25C4

Alt+18
U+2195

Alt+19
U+203C

Alt+20
U+00B6
§
Alt+21
U+00A7

Alt+22
U+25AC

Alt+23
U+21A8

Alt+24
U+2191

Alt+25
U+2193

Alt+26
U+2192

Alt+27
U+2190

Alt+28
U+221F

Alt+29
U+2194

Alt+30
U+25B2

Alt+31
U+25BC
2xSP
Alt+32
U+0020
!
Alt+33
U+0021
"
Alt+34
U+0022
#
Alt+35
U+0023
$
Alt+36
U+0024
%
Alt+37
U+0025
&
Alt+38
U+0026
'
Alt+39
U+0027
(
Alt+40
U+0028
)
Alt+41
U+0029
*
Alt+42
U+002A
+
Alt+43
U+002B
,
Alt+44
U+002C
-
Alt+45
U+002D
.
Alt+46
U+002E
/
Alt+47
U+002F
3x0
Alt+48
U+0030
1
Alt+49
U+0031
2
Alt+50
U+0032
3
Alt+51
U+0033
4
Alt+52
U+0034
5
Alt+53
U+0035
6
Alt+54
U+0036
7
Alt+55
U+0037
8
Alt+56
U+0038
9
Alt+57
U+0039
:
Alt+58
U+003A
;
Alt+59
U+003B
<
Alt+60
U+003C
=
Alt+61
U+003D
>
Alt+62
U+003E
?
Alt+63
U+003F
4x@
Alt+64
U+0040
A
Alt+65
U+0041
B
Alt+66
U+0042
C
Alt+67
U+0043
D
Alt+68
U+0044
E
Alt+69
U+0045
F
Alt+70
U+0046
G
Alt+71
U+0047
H
Alt+72
U+0048
I
Alt+73
U+0049
J
Alt+74
U+004A
K
Alt+75
U+004B
L
Alt+76
U+004C
M
Alt+77
U+004D
N
Alt+78
U+004E
O
Alt+79
U+004F
5xP
Alt+80
U+0050
Q
Alt+81
U+0051
R
Alt+82
U+0052
S
Alt+83
U+0053
T
Alt+84
U+0054
U
Alt+85
U+0055
V
Alt+86
U+0056
W
Alt+87
U+0057
X
Alt+88
U+0058
Y
Alt+89
U+0059
Z
Alt+90
U+005A

5. 국제화 문제

코드 페이지 437은 영어, 독일어, 스웨덴어 등 일부 주요 서유럽 언어는 지원했지만, 스페인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등 다른 유럽 언어에서 사용되는 일부 문자가 누락되어 국제적인 사용에 제약이 있었다. 예를 들어, 스페인어의 Á, Í, Ó, Ú와 프랑스어의 À, Â, È, Ê, Ë, Î, Ï, Ô, Œ, œ, Ù, Û, Ÿ 등의 문자가 포함되지 않았다.

덴마크어/노르웨이어의 경우 Ø, ø 문자가 없어, 소문자 파이(닫힌 형태)를 대리 문자로 사용하기도 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865 및 861에서는 센트 기호(¢)를 ø로, 엔 기호(¥)를 Ø로 대체했다.

코드 페이지 437에는 센트(¢), 파운드(£), 엔/위안(¥)과 같은 통화 기호와 플로린(ƒ), 페세타 (₧)와 같은 과거 유럽 통화 기호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스페인의 페세타(₧)는 국제적으로 통용되지 않았고 자체 기호도 없었지만, IBM 전기 타자기 스페인 모델에 이 기호 전용 위치가 있었다.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한글은 코드 페이지 437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별도의 한글 코드 페이지 (예: KS X 1001, 코드 페이지 949)를 함께 사용해야 했다.

참조

[1] 간행물 Character Sets https://www.iana.org[...]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2018-12-12
[2] 웹사이트 CCSID 437 information document http://www-01.ibm.co[...]
[3] 웹사이트 Origins of the ASCII Smiley Character: An Email Exchange With Dr. David Bradley http://www.vintageco[...] 2016-11-27
[4] 웹사이트 Attribute Controller Registers: Attribute Mode Control Register http://osdever.net/F[...]
[5] 웹사이트 HP Symbol sets https://www.pclviewe[...]
[6] 웹사이트 Code Page 1055 https://www-03.ibm.c[...]
[7] 서적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 Code Page 437 DOS Latin US http://msdn.microsof[...] Microsoft 2011-11-14
[8] 웹사이트 Glossary of Terms Used on this Site https://archive.toda[...] Microsoft 2018-08-17
[9] 웹사이트 Entering Unicode Characters – Murray Sargent: Math in Office https://blogs.msdn.m[...] 2018-08-17
[10] 웹사이트 ALT+NUMPAD ASCII Key Combos: The α and Ω of Creating Obscure Passwords https://www.irongeek[...] 2018-08-17
[11] 웹사이트 Insert ASCII or Unicode Latin-based symbols and characters - Office Support https://support.offi[...] Microsoft 2018-08-17
[12] 웹사이트 OEM 437 https://web.archive.[...] Microsoft 2011-09-22
[13] 웹사이트 OEM font https://www.pcmag.co[...] PCmag.com 2021-10-19
[14] 웹사이트 SBCS code page information document CPGID 00437 https://web.archive.[...] IBM 2011-11-14
[15] 웹사이트 Code Page (CPGID): 00437 https://public.dhe.i[...] IBM 2023-08-03
[16] 웹사이트 Graphic character identifiers: Alphabetics, Greek http://www-01.ibm.co[...] IBM 2017-02-25
[17] 웹사이트 Greek and Coptic: Range: 0370–03FF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17-02-25
[18] 웹사이트 cp437_DOSLatinUS to Unicode table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11-11-14
[19] 간행물 Code Page CPGID 00437 https://public.dhe.i[...] IBM
[20] 간행물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ICU), ibm-437_P100-1995.ucm https://github.com/u[...] 2002-12-03
[21] 서적 The Unicode Standard 4.0 https://www.unicode.[...] Addison-Wesley 2016-06-09
[22] 서적 "Programmer's Guide to PC & PS/2 Video Systems: Maximum Video Performance Form the EGA, VGA, HGC, and MCGA" Microsoft Press December 1987
[23] 웹사이트 MS LineDraw font family - Typography {{!}} Microsoft Docs https://docs.microso[...] Microsoft Corporation 2018-08-17
[24] 웹사이트 WD97: MS LineDraw Font Not Usable in Word http://support.micro[...] Microsoft 2013-10-26
[25] 웹사이트 Origins of the ASCII Smiley Character: An Email Exchange With Dr. David Bradley http://www.vintageco[...] 2016-11-27
[26] 문서
[27] 서적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 Code Page 437 DOS Latin US http://msdn.microsof[...] 마이크로소프트 2011-11-14
[28] 웹사이트 Glossary of Terms Used on this Site https://msdn.microso[...] 마이크로소프트 2018-08-17
[29] 웹사이트 Entering Unicode Characters – Murray Sargent: Math in Office https://blogs.msdn.m[...] 2018-08-17
[30] 웹사이트 ALT+NUMPAD ASCII Key Combos: The α and Ω of Creating Obscure Passwords https://www.irongeek[...] 2018-08-17
[31] 웹사이트 Insert ASCII or Unicode Latin-based symbols and characters - Office Support https://support.offi[...] 마이크로소프트 2018-08-17
[32] 웹사이트 OEM 437 http://msdn.microsof[...] 마이크로소프트 2011-09-22
[33] 웹사이트 OEM font https://web.archive.[...] PCmag.com 2011-11-15
[34] 웹사이트 SBCS code page information document CPGID 00437 http://www-01.ibm.co[...] IBM 2011-11-14
[35] 웹사이트 Code Page (CPGID): 00437 ftp://ftp.software.i[...] IBM 2017-02-25
[36] 웹사이트 Graphic character identifiers: Alphabetics, Greek http://www-01.ibm.co[...] IBM 2017-02-25
[37] 웹사이트 cpython/cp437.py at master · python/cpython · GitHub https://github.com/p[...] 2018-08-17
[38] 웹사이트 Greek and Coptic: Range: 0370–03FF https://www.unicode.[...] Unicodeコンソーシアム 2017-02-25
[39] 웹사이트 cp437_DOSLatinUS to Unicode table https://www.unicode.[...] Unicodeコンソーシアム 1996-04-24
[40] 서적 The Unicode Standard 4.0 https://www.unicode.[...] Addison-Wesley 2003-05-21
[41] 서적 Programmer's Guide to PC & PS/2 Video Systems: Maximum Video Performance Form the EGA, VGA, HGC, and MCGA Microsoft Press 1987-12
[42] 웹사이트 MS LineDraw font family - Typography {{!}} Microsoft Docs https://docs.microso[...] マイクロソフト 2018-08-17
[43] 웹사이트 WD97: MS LineDraw Font Not Usable in Word http://support.micro[...] マイクロソフト 2013-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